tree shaking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짧) Tree Shaking과 이를 사용하는 곳에서 해야할 일 흔히 말하는 Tree Shaking은 사실 Tree Shaking과 Dead Code Elimination이 존재하는데, Tree Shaking은 정적 분석을 통해 필요한 코드만을 추가하는 방식이고 Dead Code Elimination은 정적 분석을 진행한 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Dead Code Elimination 방식을 사용하는 Webpack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제거해주는 Terser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외부 라이브러리에서 트리셰이킹을 열어주는 방법으로는 package.json의 sideEffect을 false로 지정하는 것과 cjs, esm 방식으로 접근할때의 exports를 제대로 명시해주는 방법이 있는데, 이와 별개로 사용하는 곳에서도 잘 사용해주어야.. 이전 1 다음